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‘교육과정-수업-평가-기록’의 연계 활동
가. 목적
1) 배움의 과정에 학생이 스스로 참여하며 배워 학습의 주체가 되도록 함2) 학생 스스로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새로운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함나. 방법
1) 교실에서 실현 가능하며 학생들의 참여할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의 교육과정 재구성2)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배움 중심 수업 전개3) 관찰 등을 통한 학습 활동의 과정과 학생의 배움 내용 평가4) 객관적 사실에 바탕을 둔 개인적 성장의 기록다. 과정
라. 세부 운영 내용
1) 운영교과: 전교과 2) 실행을 위한 고민(예시) ◦교육과정재구성: 어떤 수업 내용과 방법이 유의미한 학습의 과정과 결과로 연결되는가? ◦수업고민1: 어떻게 하면 수업을 학생 중심 활동으로 바꿀 것인가? ◦수업고민2: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? ◦수업고민3: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? ◦평가고민1: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? ◦평가고민2: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? ◦평가고민3: 평가의 내용은 학생이 학습한 것인가? ◦기록고민1: 학생의 어떤 행동을 기록할 것인가? ◦기록고민2: 어떻게 피드백을 제공하여 또다른 성장과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것인가? 3) 실행한 일에 대한 고민(예시) ◦(교육과정 재구성)교과의 특성과 역량을 고려하여 수업 설계가 되었는가? ◦(수업)교과의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학생의 요구를 파악하고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이 재구성되었는가? ◦(수업)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는 수업 전개가 되었는가? ◦(평가)수업과 일체화된 수행 평가와 지필 평가가 실시되었는가? ◦(기록)수업의 과정에서 관찰된 학생의 성취와 성장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충실히 기록하였는가? ◦(성장)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동료들과 나누고 학생 자신이 성찰할 기회를 제공했는가?마. 기대효과
1) 학생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학생 스스로가 성장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.2) 학습을 학생의 입장에서 바라보게 되고 학습의 문제는 학생의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다.